[2021]Evaluating the Robustness of Neural Language Models to Input Perturbations
한줄 요약:
짧은 요약(Abstract) :
* 높은 성능의 신경 언어 모델들이 다양한 자연어 처리(NLP) 과제에서 최고의 결과를 얻었지만, 일반 벤치마크 데이터셋에서의 결과들은 실제 세계의 잡음이 많은 데이터에 적용했을 때 모델의 신뢰성과 강인성을 잘 반영하지 못함
* 이 연구에서, 저자들은 문자 수준과 단어 수준의 다양한 교란 방법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입력 텍스트가 실제 상황에서 약간의 잡음이 있거나 훈련된 데이터 분포와 다를 수 있는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
* 다양한 NLP 과제에 대한 포괄적인 실험을 수행하며, BERT, XLNet, RoBERTa, ELMo와 같은 고성능 언어 모델들이 다양한 유형의 입력 교란을 처리하는 능력을 조사
* 결과는 언어 모델들이 입력 교란에 민감하며 작은 변화가 도입될 때 성능이 감소할 수 있음을 확인
* 저자들은 모델들이 더욱 개선되어야 하며 현재의 벤치마크가 모델 강인성을 잘 반영하지 않고 있음을 강조
* 교란된 입력에 대한 평가가 널리 사용되는 벤치마크를 보완하여 NLP 시스템의 강인성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이해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
Useful sentences :
* 단어정리
Methodology
- 이 연구에서는 실제 시나리오에서 NLP 시스템이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잡음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다양한 문자 수준 및 단어 수준의 체계적인 교란을 텍스트 입력에 도입하여 설계하고 구현
- 여러 NLP 과제에서 BERT, RoBERTa, XLNet, ELMo와 같은 신경 언어 모델들의 능력을 조사
-
연구 결과는 이러한 신경 모델들이 작은 변경에도 불안정함을 드러냈으며, 사람들이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오탈자, 누락된 단어, 반복된 단어, 동의어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남
- 저자들의 교란 프레임워크는 NLP 시스템을 블랙박스로 다루며, 모델 구조와 내부를 알 필요 없이 다른 모델들을 비교할 수 있게 함
- CheckList와 유사하게, 저자들의 교란 방법은 NLP 시스템의 강인성을 잡음이 있는 입력에 대해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음
- 저자들의 입력 교란 프레임워크는 CheckList 테스트 방법론을 보완할 수 있음
- CheckList의 많은 테스트 유형은 사용자가 처음부터 합성 샘플을 생성하는 데 의존하지만, 이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창의력과 노력이 필요
- 또한, 합성 샘플은 낮은 커버리지를 겪을 수 있음
-
반면, 이 논문에서 소개된 대부분의 교란 방법은 인간의 개입이 필요 없으며, 의미를 유지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충분히 의미 있는 교란 샘플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음
- 이 논문은 실제 비적대적 교란 방법을 사용하여 NLP 시스템의 강인성을 테스트한 최초의 연구로서, 다양한 NLP 과제에서 여러 고성능 언어 모델의 강인성을 평가한 실증적 결과를 제시
- 이 연구는 교란 입력에 대한 평가가 NLP 모델의 성능을 과대평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기여
- 또한, 이 연구는 실제 사용 사례에서 NLP 시스템이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자연스러운 잡음을 다루는 능력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
-
이 논문은 교란의 유형과 범위를 확장하며, NLP 시스템이 어떻게 다양한 입력 변화에 대응하는지 보여줌
-
연구 방법론은 두 가지 주요 단계로 구성
** 첫 번째로, 문자 수준 및 단어 수준에서 다양한 교란을 입력 텍스트에 적용
** 이러한 교란은 입력 텍스트에 오타, 문법적 오류, 단어의 삭제 및 재배치 등을 포함하여 실제 사용자가 생성할 수 있는 오류를 모방
** 두 번째로, 이러한 교란된 입력들을 사용하여 다양한 고성능 신경 언어 모델의 robustness(강인성)를 평가
** 이를 통해 모델이 실제 세계의 복잡하고 잡음이 많은 데이터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측정 - 실험은 여러 NLP 태스크(예: 텍스트 분류, 감정 분석, 질문 응답 등)에 걸쳐 수행되며, 각 태스크에 대해 다양한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광범위한 결과를 도출
-
교란 방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, 우리는 모델의 정확도, F1 점수 등 여러 성능 지표를 사용
-
구체적인 교란 방법은 다음과 같음
** 문자 수준 교란 (Character-level Perturbation) ** 삽입 (Insertion):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문자를 삽입합니다. 예를 들어, “governor”라는 단어에서 ‘r’을 추가하여 “goverrnor”로 만듭니다. ** 삭제 (Deletion): 단어에서 임의의 문자를 삭제합니다. 예를 들어, “university”에서 ‘i’를 제거하여 “unversty”가 됩니다. ** 교체 (Replacement): 단어 내의 문자를 키보드 상 인접한 다른 문자로 교체합니다. 예를 들어, “hello”에서 ‘e’를 ‘w’로 바꿔 “hwllo”로 만듭니다. ** 스왑 (Swapping): 단어 내의 두 인접 문자의 위치를 서로 바꿉니다. 예를 들어, “example”에서 ‘e’와 ‘x’의 위치를 바꿔 “exmaple”이 됩니다. ** 단어 수준 교란 (Word-level Perturbation) ** 단어 삭제 (Deletion): 문장에서 임의의 단어를 제거합니다. 예를 들어, “He is a good student”에서 “good”을 제거하여 “He is a student”가 됩니다. ** 단어 반복 (Repetition): 문장에서 임의의 단어를 반복하여 삽입합니다. 예를 들어, “It is raining”에서 “raining”을 반복하여 “It is raining raining”이 됩니다. ** 동의어 교체 (Replacement with Synonyms): 문장의 단어를 동의어로 교체합니다. 예를 들어, “happy”를 “joyful”로 바꿉니다. ** 부정 (Negation): 문장의 긍정 문장을 부정 문장으로 바꿉니다. 예를 들어, “He is here”를 “He is not here”로 변경합니다. *** 단어 순서 변경 (Word Order): 문장 내 단어의 순서를 임의로 바꿉니다. 예를 들어, “She likes apples”을 “Apples likes she”로 변경합니다. - 이러한 교란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셋은 다양한 언어 모델(BERT, RoBERTa, XLNet, ELMo 등)의 강인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
- 실험을 통해 모델이 어떻게 다양한 교란에 반응하는지를 관찰하고, 모델이 실제 세계의 복잡한 입력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평가
- 이러한 방법론은 모델의 잠재적 약점을 발견하고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
Results
- 주요 발견 사항 ** 민감성: 모든 모델은 입력에 도입된 작은 교란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성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. 이는 모델들이 실제 세계의 잡음이 포함된 데이터에 적용될 때 예상보다 취약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. ** 모델별 차이: * RoBERTa는 다른 모델에 비해 교란에 대한 강인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이는 RoBERTa의 훈련 과정에서 다양한 최적화 기법이 적용되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. *** ELMo는 문자 수준의 교란, 특히 오탈자와 같은 변형에 더 잘 대응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. 이는 ELMo의 문자 기반 표현 방식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. *** XLNet은 단어 순서 변경과 같은 교란에 더 강인한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. 이는 XLNet의 순열 언어 모델링 방식이 단어 순서의 변화에 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** 교란 유형별 성능 변화: ** 문자 수준의 교란(예: 문자 삽입, 삭제)은 모델 성능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. 특히, 텍스트의 의미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는 작은 변경에도 불구하고 성능 저하가 일어났습니다. *** 단어 수준의 교란(예: 동의어 교체, 단어 삭제)도 성능 저하를 초래했지만, 모델과 태스크에 따라 영향의 정도가 달랐습니다. 감정 분석과 같은 특정 태스크에서는 부정어의 추가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.
*실험적 접근
** 실험은 여러 NLP 태스크(텍스트 분류, 감정 분석, 질문 응답 등)에 대해 수행되었고, 각 태스크에 대한 모델의 원래 성능과 교란이 도입된 입력에 대한 성능을 비교 분석했습니다.
** 이를 통해 모델들이 어떤 유형의 입력 변화에 가장 취약한지, 그리고 어떤 모델이 가장 강인한지를 평가할 수 있었습니다.
** 결과적으로, 이 연구는 신경 언어 모델의 강인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며, 모델 개발 시 입력 데이터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고려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. 또한, 실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모델 선택에 있어 중요한 지표를 제공합니다.
요약
- character level/word level attack을 통해 robustness 평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