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ng Idioms
*For improving english skill - Icing on the cake : 금상첨화.. (케익위의 설탕장식..)
- fall guy: 희생양, 뒤집어 쓴 사람
- i have no higher calling than: 더 높은 소명이 없다, 이거보다 중요한건 없다
- Hard times build character: 어려운 시기가 사람의 성품(인격)을 단련시킨다. 즉, 힘든 경험이나 어려운 시련을 겪으면서 사람이 더 강해지고 성장한다는 뜻
- supplant:대체하다, 대신하다
- poised to: 준비가 된, ~할 것 같은
- get back on track: 다시 정상 궤도로 돌아오다
- overhaul: 점검 및 개선
- pike: 스타벅스의 기본 드립 커피 메뉴인 Pike Place Roast
- whistleblowing: 내부고발
- level off: 평평해지다, 더 이상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고 일정해지다
- break your time: 시간을 방해하다
- I’m on top of it: 내가 그 일을 잘 파악하고 있고, 문제없이 처리하고 있어요
- I’m down on it: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어
- bread-and-butter pitch: 주무기, 핵심 기술
- Keep me a prize: 나도 챙겨줘? 이런 느낌?
- luck charm: 부적, 행운의 부적
-
crystal clear: 매우 분명한, 아주 명확한, 더할 나위 없이 이해하기 쉬운
- Intestinal worm: 장내 기생충
- Judging by the decor 인테리어(장식)를 보고 판단하건대-> 공간의 장식이나 분위기를 기반으로 어떤 결론이나 추측
- dunk: 물에 빠뜨리다
- frayed: 헤어진
- live up to: 부응하다, 충족시키다
- compartment: 구획, 칸막이
- were supposed to: ~하기로 되어 있었다
- am supposed to: ~하기로 되어 있다, 해야한다
- sniff out: 찾아내다
- inception: 시작, 개시(영화에서는 생각이 시작되개하는)
- square things: 해결하다, 바로잡다
- broom cupboard: 청소도구 보관함
- extradition: 범죄인도조약
- work placement: 현장 실습, 인턴
“Seem fixated on your verdigris” → “당신의 녹청색에 집착하는 듯해요” (verdigris는 구리가 산화되면서 생기는 푸른 녹을 말합니다.
“And since folks here, to an absurd degree” → “그리고 이곳 사람들은, 터무니없을 정도로”
”(Galinda gasps)” → ”(갈린다가 숨을 헉 하고 들이쉼)”
여기서 “gasps”는 놀라거나 충격을 받아서 갑자기 숨을 들이쉬는 소리를 의미합니다. 그래서 이 표현은 보통 놀람, 충격, 두려움 등의 반응을 묘사할 때 사용돼요.
“it seems the artichoke is steamed.” → “아티초크가 찐 것 같아.”
여기서도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어요: 1. 그대로의 의미 (음식 맥락) → 정말로 아티초크가 쪄졌다는 말일 수 있어요. 예: 요리 중에 누군가가 확인하고 말하는 장면. 2. 비유적 의미 또는 말장난 (속어) → “steamed”는 속어로 화가 난 상태를 뜻하기도 해요. 그래서 누군가를 “the artichoke”라고 별명처럼 지칭한 거라면, → “그 사람(아티초크)이 화가 난 것 같아.” 로 해석할 수 있어요.
아티초크(Artichoke)는 지중해 지역에서 유래한 식물로, 우리가 보통 먹는 부분은 꽃봉오리입니다.
Sonnet(소네트)는 14행으로 구성된 정형시입니다. 주로 사랑, 철학, 시간, 자연, 예술 같은 주제를 다루며, 일정한 **운율(rhyme)과 구조(form)를 따르는 것이 특징이에요.
“And I don’t see why you can’t just teach us history” → “왜 그냥 우리에게 역사만 가르쳐줄 수 없는 건지 모르겠어요.”
“instead of always harping on the past.” → “맨날 과거 이야기를 되풀이하는 대신에요.”
⸻
여기서 “harping on the past”는 직역하면 “과거를 계속 되풀이하다”이고, 의역하면 “과거 얘기만 질리도록 반복하다”는 의미예요.
즉, 말 전체를 자연스럽게 정리하면: → “과거 얘기만 질리도록 하지 말고 그냥 역사만 가르쳐주면 안 돼요?”
1. Toes clenched. → 발가락을 꼭 움켜쥔다. (긴장, 두려움, 분노 등 감정 표현일 수 있어요.)
⸻
2. (rattling) → (달그락거리는 소리) (무언가 흔들리거나 부딪치며 나는 소리, 예: 창문, 상자, 사물 등이 흔들릴 때.)
⸻
3. Or looked down upon or… → 혹은 깔보거나, 아니면… (누군가를 무시하거나 얕잡아보는 것을 의미)
⸻
4. …told to stop jabbering… → …지껄이지 말라고 들은 적 있거나… (jabbering은 빠르고 의미 없이 말하는 걸 뜻해요, 약간 비하하는 어조.)
- ”…the sky’s the limit.” → ”…하늘이 한계라는 말이야.” (직역은 이렇지만, 실제 의미는 “무한한 가능성이 있다”, “제한이 없다”는 긍정적인 표현이에요.) → 자연스럽게: “가능성은 무한하다는 거지.”
⸻
2. “Yesterday, a badger acquaintance, a solicitor,” → “어제, 오소리 지인 한 명이었는데, 변호사였어,” (badger는 동물이지만, 여기선 동물 캐릭터가 등장하는 이야기일 가능성이 커요.)
⸻
3. “was sacked, just for arguing a case.” → “사건 하나 변호했다고 해고당했어.” (sacked는 해고되었다는 뜻의 구어체 표현)
- “You’ll find if you make it discouraging enough,”
→ “충분히 낙담하게 만들면,”
- “you can keep anyone silent.” → “누구든지 입을 다물게 할 수 있어.”
→ 두 문장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면: “충분히 낙담하게 만들면 누구든지 침묵하게 만들 수 있다는 걸 알게 될 거야.”
⸻
3. “blended with the foliage.” → “나뭇잎들과 하나가 되었어.” (foliage는 잎, 나뭇잎 무리를 의미하며, 여기선 ‘풍경 속에 섞여 사라짐’ 같은 뉘앙스도 가능해요.)
- verdigris: 푸른 녹
- absurd: 터무니 없는
- gasp: 놀란 반응, 숨 들이키는(놀라서)
- artichoke: 지중해 음식 꽃
- sonnet: 정형시
- harp: 되풀이하다
- clench: 꼭 움켜쥐다
- rattling: 달그락 소리
- look down upon: 깔보다
- jabbering: 빠르고 의미없는.. 지껄이는.. 비하어조
- badger: 오소리
- acquaintance: 지인
- solicitor: 변호사
- sack: 해고되다
- arguing: 변호하다
- foliage: 나뭇잎
- blithe smile: 명랑한 미소
- spurned: 퇴짜 맞다
- Filling out our student body: 학생 수 채우다
- hideous: 끔찍한, 흉측한
-
quarrel: 싸우다, 다투다
- contraband: 밀수품
- contravene: 위반하다, 반하다
- moron: 바보
- tagalong: 졸졸 따라 다니는 사람, 주도성 없이 붙어가는 느낌
- came this: 됐다, 도달했다
- backwater site: 변두리
- glimpse: 흘끗봄
- reconnaissance: 정찰
- anticlimactic: 김빠지는
- ambush: 매복, 기습
- formidable: 무서운, 위협적인
- preach: 설교
- hideous: 불쾌한
| 표현 | 뜻 | 예시/설명 |
|---|---|---|
| honing the skill | 기술을 갈고닦다 | She’s honing her writing skills. |
| disbursed | (자금 등을) 지급하다, 지출하다 | Funds were disbursed to students. |
| the precision over here | 여기의 정확도/정밀도 | Look at the precision over here. |
| they were done with me | 그들이 나와 끝났다 / 더 이상 나를 원치 않는다 | After the project, they were done with me. |
| I’m doing a little light score on it | 대충/가볍게 평가하고 있다 | I’m just doing a little light score on it. |
| crippling | 치명적인, 무력하게 만드는 | crippling debt → 감당 못할 빚 |
| straining | 애쓰는, 무리하는 / 거르는 | He was straining to lift the box. |
| a little stuffy | (공간) 답답한 / (사람·분위기) 딱딱한 | It’s a little stuffy in here. |
| I have her little stuffy | 그녀의 인형을 가지고 있다 | “stuffy” = 어린이식으로 봉제인형(stuffed toy) |
| weed out | 걸러내다, 솎아내다 | The company is weeding out weak workers. |
| plant this out | (묘목을) 밖에 옮겨 심다 | Plant this out in the garden. |
| pipeable | 배관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| pipeable material |
| dud | 불발탄 / 실패작 | The movie was a dud. |
| pfft | 비웃음·무시·별거 아님을 나타내는 소리 | “Pfft, that was nothing.” |
| kryptonite | 치명적인 약점 | Time management is my kryptonite. |
| sensible | 분별력 있는, 합리적인 | a sensible decision |
| Maldon | 영국 도시 / 유명한 바다소금 브랜드 | Maldon Sea Salt |
| coriander | 고수 (영국식: 전체 / 미국식: 씨앗) | coriander seeds = 고수 씨앗 |
| chutney | 인도식 과일·채소 소스 | mango chutney |
| a (huge) shot in the dark | 아무 근거 없는 시도, 모험 | It’s a huge shot in the dark, but I’ll try. |
| they should be scared | 그들은 무서워해야 한다 / 두려워하는 게 당연하다 | They should be scared after what they did. |
| curd | 응유(치즈 덩어리) / 요거트(인도식) / 레몬커드(크림) | lemon curd tart |
- apex : 정점, 최고의
| 표현 | 뜻 | 예문 |
|---|---|---|
| best alum | 최고의 졸업생, 가장 성공한 출신자 | She was honored as the best alum of the year. → 그녀는 올해 최고의 동문으로 선정되었다. |
| grueling test | 매우 힘들고 고된 시험 | The students took a grueling test that lasted for five hours. → 학생들은 5시간짜리 고된 시험을 봤다. |
| demanding faculty | 까다롭고 요구가 많은 교수진 | He studied under a very demanding faculty. → 그는 매우 까다로운 교수진 밑에서 공부했다. |
| I can be a phantom | 나는 유령 같은 존재가 될 수 있다 (보이지 않게, 조용히 행동할 수 있다) | I can be a phantom in this city. → 나는 이 도시에서 유령처럼 살 수 있다. |
| bloodbath | 피비린내 나는 학살 / (비유) 압도적 패배 | The battle turned into a bloodbath. → 그 전투는 피비린내 나는 학살로 변했다. |
| directly off | ~에서 바로 옆에, 바로 연결된 | The kitchen is directly off the living room. → 주방은 거실 바로 옆에 있다. |
| conundrum | 어려운 문제, 난제, 수수께끼 같은 상황 | He faced a moral conundrum. → 그는 도덕적 난제에 직면했다. |
| stand out | 눈에 띄다, 두각을 나타내다 | She really stands out among her peers. → 그녀는 동료들 사이에서 정말 두드러진다. |
| 단어 | 품사 | 기본 뜻 | 예문 |
|---|---|---|---|
| scallops | 명사 | ① 가리비(요리용 조개살) ② 물결무늬(장식) |
Grilled scallops are delicious. → 구운 가리비는 맛있다. |
| curing | 명사/동명사 | ① (의학) 치료 ② (음식) 염장·보존 ③ (재료) 굳히기 |
Curing meat prevents it from spoiling. → 고기를 절이면 부패를 막을 수 있다. |
| dankest | 형용사 (최상급) | ① 가장 눅눅한 ② (속어) 가장 멋진, 쩌는 |
That was the dankest meme ever! → 그건 진짜 쩌는 밈이었어! |
| firm | 명사/형용사/동사 | ① 회사 ② 단단한, 확고한 ③ 단단하게 하다 |
She works for a law firm. → 그녀는 법률회사에서 일한다. |
| sear | 동사 | ① (요리) 겉을 빠르게 굽다 ② (불·열로) 그을리다 ③ (감정적으로) 마음을 찌르다 |
Sear the steak on both sides. → 스테이크를 양쪽 면 모두 구워라. |
| scales off | 동사구 | (비늘·페인트 등이) 벗겨지다, 떨어져 나가다 | The paint scaled off the wall. → 페인트가 벽에서 벗겨졌다. |
| for sole | 전치사구 | “오로지 ~만을 위한, 유일한” 의미 (보통 for sole use/purpose 형태) |
This room is for sole use by the manager. → 이 방은 관리자만 사용한다. |
| stand out | 동사구 | ① 두드러지다, 눈에 띄다 ② 독립적이다, 뚜렷하다 |
She stands out in the crowd. → 그녀는 사람들 속에서 눈에 띈다. |
| intimidated | 형용사 | 겁먹은, 위축된 | She felt intimidated by his tone. → 그녀는 그의 말투에 겁먹었다. |
| earthy | 형용사 | ① 흙 같은, 자연스러운 ② 소박한, 꾸밈없는 ③ (속어) 거친, 야한 |
She has an earthy sense of humor. → 그녀는 솔직하고 소박한 유머 감각을 지녔다. |
| 표현 | 뜻 | 자연스러운 한국어 해석 |
|---|---|---|
| switching gears | change the topic or focus | 주제·방향을 바꾸다 |
| scallop | ① 가리비 ② 얇게 썰다 ③ 물결무늬 가장자리 | 가리비 / 얇게 썬 / 물결 모양의 |
| portlikker (potlikker) | southern term for vegetable broth | 채소 삶은 국물 (남부식 육수) |
| whimsical | playfully imaginative, quirky | 기발한, 엉뚱한, 환상적인 |
| rustic | simple, rural, unrefined | 시골풍의, 소박한, 투박한 |
| we had some misses | we had some failures / things didn’t go perfectly | 몇 번은 잘 안 됐어, 실패도 있었어 |
| tyrant | cruel or oppressive ruler | 폭군, 독재자 |
| don’t freak out | don’t panic or overreact | 놀라지 마, 진정해 |
| insecure | lacking confidence / unstable | 자신이 없는, 불안한 / 불안정한 |
| intimidated | feeling afraid or smaller due to someone | (누군가 때문에) 위축된, 겁먹은 |
| in the weeds | overwhelmed with details or work | 일에 파묻혀 있다, 정신없다 |
| imposter syndrome | feeling undeserving of success | 가짜 같은 느낌, 자기 의심 |
| gave it steroids / on steroids | made something stronger or more extreme | 훨씬 강화했다, 업그레이드했다 |
| meringue | dessert made of whipped egg whites and sugar | 머랭 (달걀흰자 거품 디저트) |
| lackluster | dull, uninspired | 활기 없는, 밋밋한, 기대 이하의 |
| stoked on | very excited about | ~에 신나 있다, 들떠 있다 |
| accountability | responsibility and answerability | 책임, 책임감, 결과에 대한 의무 |
| excelled | did very well, was outstanding | 뛰어났다, 잘했다 |
| amongst (among) | among, in the middle of | ~사이에, ~가운데 |
| right by | right next to / beside | 바로 옆에, 곁에 |
| stand out | be noticeable or distinctive | 돋보이다, 눈에 띄다 |
| nerve-racking | extremely stressful or tense | 신경이 곤두서는, 긴장되는, 조마조마한 |
| 단어 / 표현 | 뜻 | 예시 문장 |
|---|---|---|
| don’t scorch | 태우지 마라 / 그을리지 마라 | Don’t scorch the garlic. → 마늘을 태우지 마. |
| stubborn | 고집 센, 완고한 | He’s too stubborn to admit it. → 그는 너무 고집이 세. |
| time is ticking / clock is ticking | 시간이 흘러가고 있다 / 서둘러야 한다 | The clock is ticking — hurry up! → 시간이 가고 있어, 서둘러! |
| brat | 버릇없는 아이, 응석받이 | Stop being a brat. → 버릇없게 굴지 마. |
| tamarind curry | 타마린드(새콤한 열매)를 넣은 커리 | Tamarind curry has a tangy flavor. → 타마린드 커리는 새콤한 맛이 있다. |
| go big or go home | 할 거면 제대로 해라 / 중途半端하게 하지 마라 | Go big or go home! → 제대로 하자! |
| have broken down to | ~로 나뉘다 / 세분되다 / 정리되다 | The data have broken down to three parts. → 데이터가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. |
| break down a fish | 생선을 손질하다 / 해체하다 | I’ve never broken down a fish. → 생선 손질은 안 해봤어. |
| I’m chilling | 그냥 쉬는 중이야 / 여유롭게 있어 | I’m just chilling at home. → 그냥 집에서 쉬고 있어. |
| queso fresco | 신선한 멕시코식 생치즈 | Queso fresco is great on tacos. → 타코에 케소 프레스코가 잘 어울려. |
| 단어 | 언어 | 주요 뜻 | 상세 설명 |
|---|---|---|---|
| Tostones | 스페인어 (요리) | 라틴 아메리카식 플랜테인 튀김 | 익지 않은 풋플랜테인을 두 번 튀겨낸 바삭한 요리 (토스톤은 복수형) |
| Churrasco (슈하스쿠/초라스코) | 포르투갈어 (요리) | 브라질식 숯불 꼬치구이 바비큐 | 쇠꼬챙이에 고기를 꽂아 소금 간만 하여 구워내는 브라질 전통 요리 |
| Intimidating | 영어 | 위협적인, 겁을 주는 | 자신감이나 능력 등이 타인을 압도하거나 불편하게 만드는 상태 |
| Insecure | 영어 | 불안정한, 자신 없는 | 자신감이 부족하고 불안함을 느끼며 타인의 평가에 민감한 심리 상태 |
| Sabotage | 프랑스어/영어 | 고의적인 파괴/방해 공작 | 적이나 경쟁자의 활동을 방해하기 위해 시설을 파괴하거나 계획을 훼방 놓는 행위 (태업의 의미도 있음) |
| Soggy | 영어 | 눅눅한, 물에 젖어 질척한 | 음식이 액체를 흡수해 바삭함을 잃고 물컹해진 상태. 또는 땅이 질척한 상태 |
| Stone-cold killer | 영어 | 냉혹한 살인자, 냉혈한 승부사 |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냉정하게 임무나 목표를 수행하는 사람 |
| Wouldn’t hurt it either | 영어 | 그것 역시 나쁠 것은 없다 | 무언가를 추가로 하더라도 상황을 악화시키지 않고 도움이 되거나 안전할 것이라는 의미 |
| Poached | 영어 (요리/범죄) | 데친; 수란으로 만든 / 밀렵된 | (요리) 약한 불에 부드럽게 익힌 / (범죄) 불법적으로 포획하거나 직원을 가로챈 |
| Socarrat | 스페인어 (요리) | 빠에야의 누룽지 | 빠에야 팬 바닥에 눌어붙어 형성된 바삭하고 캐러멜화된 밥의 얇은 층 |
| Mushy | 영어 | 물컹물컹한, 곤죽 같은 / 지나치게 감상적인 | (물리적) 형태를 잃고 으깨진 듯한 / (감정적) 과도하게 애정을 표현하여 느끼한 |
| Rack of | 영어 (정육) | (갈비뼈가 붙은) 한 틀 | 양, 돼지 등의 갈비 부위 전체를 의미하는 정육 용어 |
| Branzino | 이탈리아어 | 유럽 농어 (European sea bass) | 지중해에서 인기 있는 흰 살 생선으로, 고급 구이 요리 등에 사용됨 |
| Smeared | 영어 | 펴 바른, 번진 / 명예를 훼손한 | 액체나 부드러운 물질을 넓게 묻히거나 번지게 한 / 비방하여 명성을 더럽힌 |
| 표현 | 기본 뜻 | 자연스러운 해석 / 뉘앙스 |
|---|---|---|
| can either make or break you | 성공시킬 수도, 망칠 수도 있다 | 어떤 상황이 인생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함 |
| either / neither | either = 긍정의 선택, neither = 부정의 선택 | “either A or B” (A나 B 중 하나) / “neither A nor B” (A도 B도 아님) |
| me too / me either / me neither | me too = 긍정 동의 / me either·neither = 부정 동의 | “I like it.” → “Me too.” / “I don’t like it.” → “Me either.” |
| kudos | 칭찬, 존경 | “잘했어!”, “대단하다!” 와 같은 의미 |
| basted it | (요리 중) 기름이나 소스를 계속 끼얹다 | “고기를 굽다 보면 국물을 끼얹는 동작” |
| you’re up | 네 차례야 | “이제 네가 할 차례야” |
| thing was gas | (속어) 최고였어, 진짜 재밌었어 | “That thing was amazing!” 같은 의미 |
| ten out of ten | 10점 만점에 10점 | 완벽함, 매우 훌륭함 |
| velvety | 벨벳처럼 부드러운 | 질감·소리·맛 등이 부드럽고 매끄러움 |
| goofiness | 엉뚱함, 바보스러움 | 귀엽게 덜 진지한 성격을 표현 |
| empanadas | (라틴 요리) 속이 들어간 튀김 만두 | 보통 고기·치즈·야채를 넣은 반달형 요리 |
| tostones | 두 번 튀긴 플랜틴 바나나 | 카리브 해 지역의 대표 음식 |
| repurposing | 재활용, 용도 변경 | “다른 용도로 다시 쓰다” |
| stewed | 푹 익힌, 조린 | “stewed beef” = 조린 소고기 |
| get my corn out of my husk and trim | 옥수수를 껍질 벗기고 손질하다 | 요리 맥락에서는 비유 아님, 실제 행동 |
| queso fresco | 신선한 멕시코 흰 치즈 | 순하고 부서지는 식감, 타코·샐러드에 사용 |
| tostones / tostonas | 플랜틴(바나나) 튀김 | 두 번 튀겨 바삭한 카리브식 요리 |
| red mole | 멕시코 전통 매콤한 붉은 소스 | 고추·견과류·초콜릿 등이 들어감 |
| on the hot seat | 곤란한 상황에 처한 | 비판, 압박, 책임을 받는 자리 |
| confit a chicken | 닭고기를 기름에 천천히 익히다 | 프랑스식 조리법 (콩피) |
| nutmeg | 육두구 (향신료) | 따뜻하고 달콤한 향의 향신료 |
| allspice | 자메이카 피멘타 열매 향신료 | 계피·정향·육두구 향이 섞인 듯한 풍미 |
| masa tempura | 옥수수가루 템푸라 반죽 | 멕시코식 옥수수 반죽 튀김옷 |
| elote | 멕시코식 구운 옥수수 | 마요네즈, 치즈, 라임, 고춧가루를 얹은 길거리 간식 |
| cilantro | 고수잎 (coriander leaves) | 멕시코·아시아 요리에 자주 사용 |
| Tex-Mex inspired | 텍사스-멕시코식 퓨전에서 영감을 받은 | 미국식 멕시코 요리 스타일 |
| really hard to follow | 따라가기 어렵다, 이해하기 힘들다 | 복잡하거나 설명이 어려움 |
| but more so being in that kitchen | 하지만 그보다 주방에 있는 게 더 | “특히 그 공간에 있었던 게 더 인상 깊었다” |
| knowing how you were feeling about things midway through | 중간쯤 네 기분이 어땠는지 알고 있어서 | “그때 얼마나 힘들었는지 알고 있어서” |
| then seeing you stick it out | 네가 끝까지 버티는 걸 보니까 | “포기하지 않고 해내는 걸 보니까” |
| keep your head down and just push | 조용히 집중해서 밀고 나가라 | “잡생각 말고 묵묵히 끝까지 해” |
| we’re not supposed to be | 우리가 그러면 안 된다 / 그런 존재가 아니다 | 뒤에 문맥에 따라 “여기 있으면 안 돼”, “이러면 안 돼” 등 |
| we’re not supposed to be perfect, but know what to do when it doesn’t work | 완벽할 필요는 없지만, 안 될 때 대처할 줄 알아야 한다 | 완벽보다 회복력·대처력을 강조 |
| supposed to be | ~하기로 되어 있다 / ~해야 한다 / ~일 줄 알았다 | 규칙, 기대, 정체성에 따라 다르게 해석됨 |
| 번호 | 영어 표현 | 뜻 (한국어) | 예문 |
|---|---|---|---|
| 1 | not supposed to be | ~하면 안 된다 / 원래 ~이 아니다 | You’re not supposed to be here. → 너 여기 있으면 안 돼. |
| 2 | supposed to do | ~해야 한다 / ~하기로 되어 있다 | You’re supposed to do your homework. → 숙제를 해야 해. |
| 3 | supposed to | (규칙·계획·기대·추측에 따라) ~해야 한다 / ~인 것으로 여겨진다 | The train is supposed to leave at 7. → 기차는 7시에 출발하기로 되어 있어. |
| 4 | We’re not supposed to be perfect engineers, but know what to do when it doesn’t work. | 완벽할 필요는 없지만, 잘 안 될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는 알아야 한다. | (완벽함보다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하다는 의미) |
| 5 | capable of | ~할 능력이 있는 / ~할 수 있는 | She’s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. → 그녀는 그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있다. |
| 6 | capable | 유능한 / 할 수 있는 | He’s a capable leader. → 그는 유능한 리더다. |
| 7 | would say | ~라고 말하겠다 / 내 생각엔 ~이다 (완곡한 표현) | I would say he’s kind. → 내 생각엔 그는 친절한 것 같아. |
| 8 | has the palate | 미각이 있다 / 미식가적 감각이 있다 | She has the palate of a wine expert. → 그녀는 와인 전문가 같은 미각을 가졌다. |
| 9 | is second guessing | (자신의 결정을) 다시 의심하다 / 확신하지 못하다 | He keeps second-guessing himself. → 그는 자꾸 자기 판단을 의심한다. |
| 10 | tostada | (멕시코 음식) 바삭하게 구운 또르티야 위에 재료를 올린 음식 | I ordered a chicken tostada. → 치킨 토스타다를 주문했어. |
| 11 | have rinsed | (이미) 헹궜다 / 씻어냈다 | I have rinsed the dishes. → 설거지를 헹궜어. |
| 12 | feel validating | 인정받는 느낌이 들다 / 내 감정이 존중받는다고 느끼다 | It feels validating when someone understands you. → 누군가가 널 이해해줄 때 인정받는 느낌이 들어. |
| 13 | Excellence heard, I got you | “좋아, 네 말 잘 들었어. 알겠어, 맡겨!” | 이해했음을 긍정적으로 표현하는 구어체 |
| 14 | in such fashion | 그런 방식으로 / 그런 식으로 | Don’t behave in such fashion again. → 그런 식으로 행동하지 마. |
| 15 | fell short | (기대·목표에) 미치지 못하다 / 부족했다 | The project fell short of expectations. → 프로젝트가 기대에 못 미쳤다. |
| 16 | pick yourself back up | 다시 일어서다 / 재기하다 / 기운을 되찾다 | It’s okay to fall—just pick yourself back up. → 넘어져도 괜찮아, 다시 일어나면 돼. |
| 17 | find out | 알아내다 / 알게 되다 / 발견하다 | I just found out the truth. → 나는 진실을 알게 됐어. |
| 18 | the bar’s getting set higher | 기준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/ 기대치가 올라가고 있다 | The bar’s getting set higher every year. → 매년 기준이 더 높아지고 있다. |
| 19 | no room for error | 실수할 여지가 없다 / 오차가 허용되지 않는다 | There’s no room for error in this job. → 이 일에서는 실수하면 안 된다. |